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고리즘
- 검증
- db
- 자료구조
- 프로그래머스
- OS
- 면접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코딩테스트
- Bean Validation
- ModelAttribute
- JPA
- 자바
- 코테
- 백준
- 스프링MVC
- 브루트 포스
- 정처기
- 메서드
- 스파르타코딩
- 자바의 정석
- 네트워크
- programmers
- 쿼리dsl
- 스프링 MVC
- 반복문
- Java
- 운영체제
- 웹개발
- 스프링
- Today
- Total
목록JPA (2)
개발일지
JPA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클래스의 매핑 정보를 보면 어떤 테이블에 어떤 컬럼을 사용하는지 알 수 있다. JPA는 이 매핑정보와 데이터베이스 방언을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한다. 목차 💡 유니크 제약 조건 @Table( name="테이블 이름", uniqueConstraints={ @UniqueConstraint( name = "unique 제약조건 이름", columnNames = { "포함할 컬럼이름 1", "포함할 컬럼이름 2" } ), } 유니크 제약 조건은 단지 DDL을 자동 생성할 때만 사용되고 JPA의 실행 로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래도 이 기능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엔티티만 보고도 손쉽게 다양한 제약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
목차 - JPA를 사용하면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할 때,개발자가 직접 SQL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JPA가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JPA가 개발자 대신에 적절한 SQL을 생성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한다. - JPA는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이다. *ORM :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매핑한다는 뜻이다. ORM 프레임워크는 객체와 테이블을 매핑해서 패러다임의 불일치 문제를 개발자 대신 해결해준다. JPA가 제공하는 CRUD API 저장 기능 jpa.persist(member); persist() 메소드는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 메소드를 호출하면 JPA가 객체와 매핑정보를 보고 적절한 INSERT SQL을 생성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한다. 조회 기능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