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의 정석
- 면접
- 브루트 포스
- 자료구조
- 스프링 MVC
- 네트워크
- 스프링MVC
- Java
- 메서드
- programmers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머스
- db
- 자바
- 백준
- 반복문
- JPA
- ModelAttribute
- OS
- 스프링
- 스파르타코딩
- 정처기
- 운영체제
- Bean Validation
- 쿼리dsl
- 알고리즘
- 코딩테스트
- 웹개발
- 코테
- 검증
- Today
- Total
개발일지
쿠키와 세션 본문
목차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1. Connectionless 프로토콜 (비연결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때, 그 요청에 맞는 응답(Response)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2. Stateless 프로토콜 (상태정보 유지 안함)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쿠키와 세션
쿠키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쿠키의 특징
- 이름, 값, 만료일(저장기간), 경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 클라이언트에 총 300개의 쿠키를 저장할 수 있다.
- 하나의 도메인 당 20개의 쿠키를 가질 수 있다.
- 하나의 쿠키는 4KB(=4096byte)까지 저장 가능하다.
쿠키의 단점
1. 클라이언트 측에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악용될 우려가 있고, 보안에 취약하여 정보가 탈취당할 위험성 존재
2. 쿠키가 트래킹으로 과도하게 이용되어 과한 광고 수단으로 남용되고 있다.
쿠키 관리는 누가할까? -> 클라이언트의 쿠키는 전적으로 웹브라우저가 관리한다.
쿠키 동작 순서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웹사이트 접근)
2. 웹 서버는 쿠키를 생성한다.
3. 생성한 쿠키에 정보를 담아 HTTP 화면을 돌려줄 때 같이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준다.
4. 넘겨 받은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다가(로컬 PC에 저장) 다시 서버에 요청할 때 요청과 함께 쿠키를 전송한다.
5. 동일 사이트 재방문시 클라이언트의 PC에 해당 쿠키가 있는 경우, 요청 페이지와 함께 쿠키를 전송한다.
세션
일정 시간 동안 같은 사용자(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연결을 끝내는 시점을 말한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서버는 세션 ID를 이용해 클라이언트를 구분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세션을 유지한다.
세션 특징
- 웹 서버에 웹 컨테이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 웹 서버의 저장되는 쿠키(=세션 쿠키)
- 브라우저를 닫거나,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 때만 삭제가 되므로, 쿠키보다 비교적 보안이 좋다.
- 저장 데이터에 제한이 없다. (서버 용량이 허용하는 한에서)
- 각 클라이언트에 고유 Session ID를 부여한다. Session ID로 클라이언트를 구분해 각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
세션 동작 순서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에 요청한다.
- 서버는 접근한 클라이언트의 Request-Header 필드인 Cookie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가 해당 session-id를 보냈는지 확인한다.
- session-id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버는 session-id를 생성해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준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받은 session-id를 쿠키에 저장한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시 이 쿠키의 session-id 값을 같이 서버에 전달한다.
- 서버는 전달받은 session-id로 session에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요청을 처리 후 응답한다.
그렇다면 쿠키와 세션의 차이는 무엇인가?
쿠키 | 세션 | |
저장 위치 | 클라이언트 로컬 | 서버 |
보안 | 변질되거나 request에서 스니핑 당할 우려 존재 | 쿠키에 세션 ID만 저장하고, 서버에서 세션을 처리하기 때문에 비교적 보안성이 좋다. |
브라우저 종료에 따른 결과 | 만료시간동안 파일로 저장되어, 브라우저 종료해도 남아있음 | 만료시간에 상관없이, 브라우저 종료시 삭제 |
속도 | 세션보다 빠름 | 쿠키보다 느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큰(JWT, AccessToken,RefreshToken) (2) | 2024.01.24 |
---|---|
DNS(Domain Name System) (1) | 2024.01.22 |
CORS란? (1) | 2024.01.22 |
HTTP와 HTTPS (1) | 2024.01.21 |
로드밸런싱 (0) | 2024.01.18 |